꼭전문가가 되어야 할까?

꼭 전문가가 되어야 할까? | 스페셜리스트 vs 제너럴리스트

“나에게 배움은 설렘이자 즐거움이고, 나를 늙지 않게 도와주는 활동이다.” 어느 인터뷰에서 질문지에 ‘나는 전문가다.’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판치는 세상인데, 스스로 ‘나는 디자인 전문가가 아니다.’라는 게 궁금하다 했다. 일단 나는 진짜 전문가가 아니다. 전문가라고 한다면 특정 분야를 연구하거나 그 일에 종사하여 그 분야에 상당한 지식과 경험을 가진 사람을 말하는데, 나는 디자인 분야에 대한 상당한 지식과 경험이 없다. … 더보기

꾸준함 일러스트

운을 낚는 방법 | 인생은 운빨 게임

“재능이 운을 잡을 확률을 높인다면 꾸준함은 운을 만날 확률을 높인다.” “운빨 게임”이라는 용어가 있다. 운이 필요한 게임으로 운이 큰 요소로 작용하는 게임의 커뮤니티에서 쓰이는 말이다. 나는 인생이 운빨 게임과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크게 두 가지 운이 있다고 생각하는데, 첫 번째 운은 나의 존재에 대한 운. 선천적인 재능과 가정 환경에 대한 운이다. 내가 결정할 수 없는 절대 … 더보기

동안의 편향

귀여운 캐릭터 디자인의 심리학적 비밀

귀여운 캐릭터 디자인의 심리학적 비밀을 탐구해 보세요. 동안의 편향을 활용한 다양한 브랜드 사례와 디자인 전략을 통해 어떻게 친근함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지 알아보며, 캐릭터 디자인이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봅니다.

열정바이오리듬

열정 바이오리듬 | 번아웃인지 의심이 될 때

나에게는 열정 바이오리듬이 있다. 이게 뭐냐면, 열정 롤러코스터를 타는 거다. 어떤 때는 열정이 넘쳐 세상 모든 일을 다 할 수 있을 것 같은 상태가 되어 많은 일을 벌여놓는다. 이 상태에서는 엄청난 집중력, 집요함, 광기로 무언가를 이루고 큰 성취감을 느낀다. 그런데 시간이 좀 지나면 열정은 사그라들고 바닥을 지나 지하까지 내려간다. 이때는 세상 무엇도 하기 싫고, 밥도 … 더보기

텍스트 강조 방법

시선을 끄는 텍스트 강조 방법 9가지

모든 종류의 콘텐츠에 적용할 수 있는 필수 디자인 스킬을 소개합니다. 그래픽 디자인, PPT, 발표자료, 카드뉴스 등 다양한 매체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 기법을 배워보세요. 전문가처럼 디자인을 통해 메시지의 전달력을 강화하고 관심을 끌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근접성의 원칙

심리학으로 디자인을 깔끔하게 만들어보자 : 근접성의 원칙

‘물리적으로 가까이 있는 요소들은 그룹으로 인식된다.’ 게슈탈트 심리학에서 말하는 근접성의 원칙입니다. 이는 사람들이 정보를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하게 도와주는 시각적 정렬 방식 중 하나입니다.

명도 대비 디자인

채도 높은 색을 썼는데 왜 잘 안보일까? [컬러 사용 팁]

높은 채도를 사용해도 글자나 디자인이 잘안보인다면 대부분 명도의 문제입니다. 디자인에서 명도 대비 대한 이론과 눈에 띄는 디자인을 만드는 컬러 사용 팁을 알려드립니다.

7가지 로고의 종류

7가지 로고 종류, 어떤걸 써야할까?

로고 디자인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워드마크, 레터마크, 심볼, 콤비네이션, 엠블럼, 마스코트, 추상 마크 7가지 주요 로고 유형에 대해 탐구하고, 로고의 장단점을 통해 브랜드 정체성을 어떻게 시각화 하는지 알아봅니다.